본문바로가기

NEWS & INSIGHTS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상, 선학평화상재단입니다.

No Image

외채 부담(Debt Burden)이란?

―외채 부담(Debt Burden)이란?―외채 부담(Debt Burden)은 나라가 외국에서 빌린 돈을 갚느라 경제 성장도 어렵고, 국민들이 누려야 할 삶의 기회까지 줄어드는 걸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외채가 왜 문제인지, 글로벌 외채 현황은 어떠한지, 그 뒤에 숨겨진 국제 금융 시스템의 불공정함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 구조를 바꾸기 위해 어떤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시작은 아주 단순했습니다. 돈을 ‘잠깐’ 빌렸거든요.―신용카드를 써보신 적 있으신가요?돈이 없을 때 급하게 쓸 수 있어서 정말 편하죠. 문제는 “갚을 수 있을 줄 알았는데, 계속 쌓이기만 한다”는 데 있습니다. 이자가 붙고, 연체료가 더해지고, 결국 매달 들어오는 월급이 온통 카드값으로 빠져나가게 되면 안정된 생활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이게 바로, 오늘날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처한 현실입니다.신용카드 대신 '외채', 월급 대신 '수출 수익'이라고 단어만 바꾸면 국가도 같은 원리로 무너질 수 있습니다.외채는 국경 밖 이야기처럼 들릴 수 있지만, 사실은 우리 모두의 문제입니다. 전 세계 모든 나라는 기후협력, 개발협력, 세계금융 질서의 일부로서 이 구조에 책임과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외채 부담이란?―‘외채(Debt)’란 나라가 외국 정부나 국제금융기구(IMF, 세계은행 등)에서 빌린 돈을 뜻합니다. 처음에는 그 돈으로 도로도 만들고, 학교도 짓고, 전기도 끌어오려고 빌려 옵니다. 좋은 의도죠.그런데 갑자기 환율이 폭등하고, 수출이 줄어들고, 금리는 오른다면?그러면 원래 갚기로 했던 날짜에 맞춰 돈을 돌려줄 수 없게 되죠.대출 연장은 안 되고, 연체 이자만 쌓여갑니다.세계은행은 외채 부담을 이렇게 표현합니다:“원금과 이자를 포함한 채무 상환 비용이 경제 성장과 개발을 제약할 수 있다.”-출처: 세계은행, 2024-―스리랑카: '국가 디폴트'가 현실이 되는 순간―“병원엔 약이 없고, 주유소엔 줄이 5시간 넘게 이어졌습니다. 아이들은 학교를 그만두고, 부모는 생필품을 줄이기 시작했습니다. 외채가 불러온 현실이었습니다.”2022년 7월, 스리랑카는 “이제 외채를 더 이상 갚을 수 없습니다”라고 선언하며 국가 부도(디폴트)에 들어갔습니다. 빚으로 한 나라가 무너진 것입니다.스리랑카 경제 현황 (2022년 기준)• 외환 보유액: 약 15억 달러• 연간 외채 상환액: 약 70억 달러• 인플레이션율: 55% 이상• 식량·의약품 수입 가능성: 거의 전무스리랑카는 외환이 바닥나자 의약품과 식량도 수입하지 못했고, 연료가 끊기면서 병원과 학교도 문을 닫게 됐습니다. 결국 거리에는 항의하는 시민들로 가득 찼고, 대통령은 밤중에 비행기를 타고 몰래 해외로 도피했습니다.이것이 바로 '외채 쇼크'의 현실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단지 스리랑카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현재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외채 부담에 시달리며 망할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2024 글로벌 외채 현황,조용히 빚에 질식하는 나라들―2024년 기준, 개발도상국 전체의 외채는 약 8조 달러에 달합니다. 70개국 이상이 외채 부담으로 고통을 겪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GDP의 52%가 외채입니다.  

2025.11.07
1 2 3 4 5  
Sunhak Peace Prize

미래세대는 현세대의 생물학적 자손을 넘어 현세대가 직접 만날 수 없는
미래의 인류 일반을 의미합니다.

현세대가 행하는 모든 행위는 미래세대에게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주기에
우리는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가져야 합니다.